울주군 (2000년 선거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울주군은 2000년 제1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울산시 울주구 선거구에서 분리되어 신설된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이다. 울주군 전역을 관할하며, 2000년 권기술 의원을 시작으로 강길부, 서범수 의원이 국회의원을 역임했다. 역대 선거에서 한나라당, 열린우리당, 새누리당, 미래통합당, 국민의힘, 무소속 후보가 당선되었으며, 2000년부터 2024년까지 총 7번의 국회의원 선거가 치러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울산광역시의 선거구 - 북구 (울산 선거구)
울산 북구는 1997년 설치된 울산광역시의 구로, 2000년부터 독자적인 선거구를 갖게 되었으며 진보와 보수 양 진영 후보를 모두 배출한 정치적 변동이 심한 스윙 지역이다. - 울산광역시의 선거구 - 동구 (울산 선거구)
울산 동구 (울산 선거구)는 1997년 울산광역시 승격 이후 2000년 제16대 총선을 앞두고 신설되었으며, 다양한 정치 성향의 인물들이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고, 2024년 제22대 총선에서 더불어민주당 김태선 의원이 당선되어 지역 정치 지형의 변화를 보여주었다. - 울주군의 정치 - 울산시·울주군 (1978년 선거구)
울산시·울주군 선거구는 1973년 동래군 폐지로 울산시·울주군·동래군 선거구에서 분리되어 1978년부터 1985년까지 존속하다가 울산시 분구 및 울주군 분리로 폐지된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이다. - 울주군의 정치 - 울주군수
울주군수는 울산광역시 울주군의 행정을 총괄하는 자리로, 과거 관선 군수를 거쳐 민선 울주군수가 선출되어 현재 8대 이순걸 군수가 재임 중이다. - 2000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성남시 분당구 을
성남시 분당구 을은 2000년 신설된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선거구로, 분당동, 수내동, 정자동, 금곡동, 구미동을 관할하며 임태희, 손학규, 김병욱, 김은혜 등이 역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 2000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공주시·연기군
공주시·연기군은 2000년 제1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공주시 선거구와 연기군 선거구가 통합되어 2000년부터 2012년까지 존속했던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였으나, 2012년 연기군 지역이 세종특별자치시로 편입되면서 폐지되었다.
울주군 (2000년 선거구) - [선거구 정보]에 관한 문서 | |
---|---|
선거구 정보 | |
이름 | 울주군 |
의회 | 국회 |
큰지도 | 울산광역시 |
연도 | 2000 |
유형 | 국회 |
이전 선거구 | 울산시 울주구 |
의원 | 서범수 |
정당 | 국민의힘 |
의원수 | 1인 |
2. 역사
1997년 7월 15일을 기해 경상남도 울산시가 울산광역시로 승격되었다. 이로 인해 2000년 대한민국 제1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울산시 울주구 선거구에서 분리되면서 신설되었다.
3. 관할 구역
관할 구역 울주군 전역
4. 역대 국회의원
4. 1. 역대 국회의원 당적 변화
5. 역대 선거 결과
선거명 |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대한민국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 권기술 | 한나라당 | 40,460 | 68.45% |
박정근 | 무소속 | 10,906 | 18.45% | |
윤광일 | 새천년민주당 | 7,736 | 13.08% | |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 강길부 | 열린우리당 | 31,979 | 42.63% |
권기술 | 한나라당 | 31,101 | 41.46% | |
신진규 | 녹색사민당 | 7,225 | 9.63% | |
김문찬 | 국민통합21 | 4,709 | 6.27% | |
대한민국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 강길부 | 무소속 | 33,227 | 48.17% |
이채익 | 한나라당 | 24,846 | 36.02% | |
이정훈 | 무소속 | 9,421 | 13.65% | |
김성환 | 평화통일가정당 | 1,480 | 2.14% | |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 강길부 | 새누리당 | 51,740 | 63.65% |
이선호 | 통합진보당 | 29,536 | 36.34% | |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 강길부 | 무소속 | 40,945 | 40.27% |
김두겸 | 새누리당 | 28,749 | 28.27% | |
정찬모 | 더불어민주당 | 22,566 | 22.19% | |
권중건 | 국민의당 | 7,525 | 7.40% | |
전상환 | 무소속 | 1,884 | 1.85% | |
대한민국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 서범수 | 미래통합당 | 66,317 | 52.74% |
김영문 | 더불어민주당 | 54,563 | 43.40% | |
전상환 | 무소속 | 3,628 | 2.88% | |
고진복 | 국가혁명배당금당 | 1,213 | 0.96% | |
대한민국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 서범수 | 국민의힘 | 67,044 | 53.48% |
이선호 | 더불어민주당 | 58,307 | 46.51%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